[주식] 기술적분석(차트분석)

기술적분석은 주가나 거래량 등 주식시장의 과거 데이터를 기초로 시세를 예측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차트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기 때문에 차트분석이라고 합니다. 경제학을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무엇인가요? 바로 경제학 첫 페이지에서 나오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입니다. 주가 또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됩니다. 매수하려는 자와 매도하려는 자가 각자 원하는 가격대가 있을 것이고, 이 수요(매수)와 공급(매도)가 합의점을 찾았을 때 거래가 되는 것입니다. 주가는 기업의 가치, 투자심리, 경제상황 등 여러 경제적 요인들에 의해서 등락을 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있다고 판단해서 사는 투자자, 갤럭시S9의 출시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해서 사는 투자자, 개인이 아닌 외국인 또는 기관이 매수를 했기 때문에 사는 투자자, 기술적분석으로 오를 것이라고 판단해서 사는 투자자에 의해서 기업의 주식은 매수가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보유한 주식을 매도하는 투자자들은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해서 판매를 합니다. 이렇게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차트에 반영이 되고, 이를 분석하여 매수와 매도하는 방법이 기술적분석입니다. 기술적분석은 앞서 살펴보았던 기본적분석과 함께 수반되어야 합니다. 기본적분석이 한계를 가졌듯이, 기술적분석 또한 한계점이 있기 때문이죠.

첫째, 차트는 과거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차트는 과거의 패턴을 보여줄 뿐, 미래의 주가흐름을 예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과거의 패턴이 그대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둘째, 차트는 주관적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한 기업의 주식에 대한 차트를 보고, 누군가는 매수의 관점을 누군가는 매도의 관점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이런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반드시 기업의 가치를 함께 분석해야 하고, 이는 기본적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극단적으로 기본적분석으로 사야할 종목을 선택하고, 기술적분석으로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을 찾는다고도 하니, 두 분석 방법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을 통해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