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본적분석
기본적분석은 기업의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현재의 주가와 비교하여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분석은 기업이 불법적으로 분식회계를 하는 경우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으며, 과거 자료를 통해 미래의 실적을 예측하는 것이어서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 분석 없이, 기술적 분석에만 의지하여 주식거래를 한다면 기업의 상태에 따라 복구 할 수 없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적분석과 기술적분석을 함께 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포털사이트나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홈트레이딩시스템을 활용하여 재무제표와 각종 지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아래의 대표적인 기본적 분석 지표를 확인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해당 기업의 지표들을 업종 평균, 업종 우량주와 비교하여 기업의 가치 판단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주식 거래할 기업의 PER을 보고, 우량주와 비교하여 거래를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1.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ROE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 100
2.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PER은 특정 주식의 주당시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눈 수치로,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PER = 주가 ÷ 1주당 예상 순이익
-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 PER이 높을수록 고평가 된 주식입니다. 동종업계의 주식들을 보고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었느냐, 저평가되었으냐에 따라 매수할지 매도할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3. EV/EBITDA(이브이에비타)
- EV/EBITDA는 기업가치가 [순수한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의 몇 배인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 EV/EBITDA가 높으면 회사의 주가가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된 주식입니다. PER과 마찬가지로 동종업계와 비교를 통해 상대적으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4.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 PBR은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주가순자산비율이 낮을수록 저평가, 높을수록 고평가 된 주식입니다.
이상으로 기본적 분석에 도움이 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분석은 기본 중의 기본! 주식거래를 할 때 기업의 재무제표 공시가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해보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기본적분석을 하면 최소 망할 수 밖에 없는 기업은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두 열심히 공부하셔서 성투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코스피 코스닥 차이 (0) | 2018.02.18 |
---|---|
[주식] 이동평균선(주식공부) (0) | 2018.02.13 |
[주식] 주가파동이론(주식공부) (0) | 2018.02.11 |
[주식] 봉차트(캔들차트) 주식공부 (0) | 2018.02.03 |
[주식] 기술적분석 (0) | 2018.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