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동평균선(주식공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가는 매일 등락을 반복하며 역동적으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변화무쌍한 매일의 주가만 보면서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인데, 이를 보완하하는 것이 바로 이동평균선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주가를 일정기간 즉,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200일의 기간으로 나누어서 평균주가를 계산하여 연결한 선을 주가이동평균선이라고 합니다. 말그대로, 5일선은 5일 동안의 평균주가, 1일선은 10일 동안의 평균주가입니다. 60일선, 120일선, 200일선도 마찬가지입니다. HTS가 이동평균선을 똑똑하게 다 보여주기 때문에, 계산방법을 알 필요는 없지만 대략적으로만 알아두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주가이동평균선의 계산방법은 당일을 포함하여 n일을 이동평균하여 구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금일(A일) 5일 이동평균선을 구할 때는, A일, A-1일, A-2일, A-3일, A-4일을 산술평균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그러나 계산은 똑똑한 우리의 HTS, MTS에게 맡기도록 합시다. 지금까지 주가이동평균선의 정의와 계산방법에 대하 알아보았으니, 이것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장기이동평균선은 추세를 분석하는데 활용합니다. 주가와 경기는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불황에서는 주가가 떨어지기 마련이고, 호황에서는 주가가 오르기 마련입니다. 200일선과 120일선은 경기선으로 보고, 경기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60일선은 중기 추세로 보고, 20일, 10일, 5일선은 단기매매에 활용해야 합니다.
강세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서 파동을 그리며 상승하고, 약세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아래에서 파동을 그리며 하락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매수를 해야하고, 하향 돌파한다면 매도를 해야합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동평균선은 주가에 대해 지지를 하기도 하고 저지 하기도 합니다. 이동평균선 위에서는 지지선이 되어 주가를 지지해주고,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경우에는 저항선이 되어 추가 상승을 저지하는 것입니다.
또한, 주가는 이동평균선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으려는 속성이 있는데, 이를 회기 속성이라고 합니다. 주가가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급등을 하거나 급락을 하더라도 다시 이동평균선에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잊지마세요.
마지막으로, 주가와 단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의 배열에 따라 정배열과 역배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배열은 위에서부터 주가, 단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 순으로 배열이 된 상태로 상승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볼 수 있고, 역배열은 위에서부터 장기 이동평균선, 중기 이동평균선, 단기 이동평균선, 주가 순으로 배열이 된 상태로 하락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가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동평균선은 기술적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다른 분석 방법보다도 우선적으로 공부해야 할 기초 중의 기초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코스피 코스닥 차이 (0) | 2018.02.18 |
---|---|
[주식] 주가파동이론(주식공부) (0) | 2018.02.11 |
[주식] 봉차트(캔들차트) 주식공부 (0) | 2018.02.03 |
[주식] 기술적분석 (0) | 2018.01.27 |
[주식] 기본적분석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