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을 처음 시작하신 분들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하실 겁니다. 최근 뉴스를 보면, 코스피지수 2400 돌파, 코스닥 지수 800 돌파 이렇게 해서 자주 보도가 되고 있습니다. 다 똑같은 주식시장인 줄 알았는데, 다른 거 였구나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코스피와 코스닥의 정의와 상장요건, 차이 등을 함께 비교해보겠습니다.
1. 코스피(KOSPI)
코스피는 국내 종합주가지수입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입니다. 개별 종목이 아닌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됩니다. 1956년 처음 개장되었고,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엘지전자, 포스코 등이 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을 대상으로 하며,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하여 산출합니다.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으로 하며 이날의 종합주가지수를 100으로 정한 것입니다. 보통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대기업, 중견기업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음으로, 코스피의 상장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상장요건들을 충족해야 하지만, 대표적으로 몇개의 요건들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and 상장주식수 100만주 이상이어야 하고, 영업활동기간은 설립후 3년 이상 경과되어야 하고 계속적인 영업활동을 해야합니다. 감사의견은 최근적정, 직전 2년 적정 또는 한정이어야합니다. 개인투자자라면 상식선 정도로 자기자본, 상장주식수, 영업활동기간, 감사의견 정도만 알고 있어도 무방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경영성과나 주주수 등은 한국거래소 사이트에서 상장요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코스닥(KOSDAQ)
코스닥은 장외거래 주식시장으로 미국의 나스닥과 같은 기능을 하는 증권시장으로, IT기업, 바이오 등의 중소, 벤처기업을 위한 증권시장으로 1996년 개설된 시장입니다. 최근에는 코스닥 시장의 시총 1위였던 셀트리온이 코스피로 넘어가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코스닥은 중소, 벤처기업이 주를 이룹니다.
다음으로, 코스닥의 상장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기자본은 일반기업의 경우 30억 이상이어야 하고, 벤처기업은 15억 이상, 기술성장기업은 10억이상이어야 합니다. 설립 후 경과년수는 일반기업은 3년 이상이어야 하며, 벤처기업과 기술성장기업은 미적용 대상입니다. 감사의견은 최근 사업연도가 적정이어야 합니다. 앞서 살펴보았던 코스피와 비교했을 때, 상장요건이 다소 완화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코스피에 상장된 종목은 비교적 안전하고 수익률이 낮은 특징이 있으며, 코스닥에 상장된 종목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즉, 비교적 위험하고 높은 수익률이 특징입니다.
지금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이동평균선(주식공부) (0) | 2018.02.13 |
---|---|
[주식] 주가파동이론(주식공부) (0) | 2018.02.11 |
[주식] 봉차트(캔들차트) 주식공부 (0) | 2018.02.03 |
[주식] 기술적분석 (0) | 2018.01.27 |
[주식] 기본적분석 (0) | 201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