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주가파동이론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가파동이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가는 추세를 따라 상승 또는 하락의 파동을 보입니다. 파동이란 일정기간 고점과 저점을 보이며 상승파동, 하락파동을 그리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파동이론의 가장 대표적인 이론은 엘리엇파동이론입니다. 금융관련 자격증을 준비해보신 분들은 한번쯤 들어보셨을 내용입니다. 엘리엇파동이론을 요약하자면, 주가는 연속되는 8개의 파동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며, 5번의 상승과 3번의 하락이 반복한다는 것입니다. 엘리엇이론을 만든 사람은 미국의 회계사 출신 아마추어 주식분석가 랠프 넬슨 엘리엇입니다. 1938년 그의 저서 '파동이론'을 통해 발표한 이 이론은 1987년 블랙먼데이(미국 주식시장 사상 최악의 폭락) 직전 다른 예측들과 달리 대폭락을 예고함으로서 인정을 받았고, 현재까지도 기술적분석의 한 방법으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아까 요약해서 말씀드렸다시피, 파동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 총 8개 파동이 하나의 사이클에 의해서 움직입니다. 상승 5개 파동은 1, 3, 5번의 충격파동과 2,4번의 조정파동으로 구성되며, 하락 3개 파동은 a, c의 충격파동과 b의 조정파동으로 구분됩니다. 풀어서 설명드리자면, 상승 파동시에는 1,3,5번이 상승 추세를 나타내며, 상승 중에도 2, 4번 파동은 조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대로, 하락 파동시에는 a, c 파동이 하락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b는 조정을 나타내며 약간의 상승을 보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계속 상승을 하거나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조정 파동을 보이는 것일까요? 상승으로 추세가 전환이 되면, 그동안 손해를 보던 사람들이 '본전이라도 찾자'는 심리에 의해서 주식을 매도하게 되고, 이익을 보고 있던 투자자도 '이정도면 됐지. 팔자'라는 생각으로 매도를 하게 되어 주가가 소폭 하락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심리가 반영되어 조정 즉, 상승 2 또는 상승 4에서 주가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 파동에서는 적극적으로 매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승파보다 폭이 작고 기울기도 완만한 것이 보통입니다. 또한, 상승파의 1/3 또는 1/2, 심할 경우 2/3까지 하락을 할 수는 있으나 1파의 저점을 깨지 않습니다. 주식투자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상승 추세를 보일 수 있으므로 조기 실현보다는 매도 시점을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하락파동일 때는 이와는 반대로 생각하면 됩니다. 주가가 하락하면 평균매입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추가매수를 하는 투자자, 신규로 매수하는 투자자들에 의해서 조정이 이루어지고, 하락 b파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하락 국면에서는 적극적으로 매도의 관점을 취해야 합니다.

추가) 엘리엇파동이론의 절대부가침의 법칙

1) 2번 파동의 저점이 1번 파동의 저점보다는 반드시 높아야 한다.
2) 3번 파동이 제일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3) 4번 파동의 저점은 1번 파동의 고점과 겹칠 수 없다.

덧붙여서, 엘리엇파동이론의 절대부가침의 법칙은 자격증 시험용으로 안내해드립니다. 이 법칙은 증권투자상담사(지금은 시험 명칭이 투자권유대행인으로 바뀌었습니다) 시험에서도 자주 나오던 법칙이니까 시험 보시기전에 외우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엘리엇파동이론의 단점

1) 파동의 시작과 끝이 명확하지 않다.
2) 하나의 파동에 걸리는 기간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상으로 주가파동이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유익한 정보를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 코스피 코스닥 차이  (0) 2018.02.18
[주식] 이동평균선(주식공부)  (0) 2018.02.13
[주식] 봉차트(캔들차트) 주식공부  (0) 2018.02.03
[주식] 기술적분석  (0) 2018.01.27
[주식] 기본적분석  (0) 2018.01.22

+ Recent posts